감나무의 감

먹으면 싸지만 싸려고 먹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우리의 똥만을 소화할 수 있는 존재가 있다면 인류를 일컬어 자신들을 위해 먹고 싸는 존재로 칭하지 않을까. 물론 그런 존재는 없지만 우리가 그런 식으로 존재의 이름을 붙인 많은 것들이 얽혀있는 세계가 있지. (갑자기 박테리아가 떠오른다.)
그 무엇도 무언가의 목적이지 않는 삶으로. 무엇도 무엇으로 분리되지 않는 삶으로 살 수 있는 건가. 아니, 그런 것이 추구할 만한 상태일까? 아니면 염두하는 것으로 족한 건가, 혹은 추구하는 것을 통해 겨우 염두하는 것뿐일까.

잘 익은 감은 감나무의 추구할 바라고 가정했을 때,
감이 초록색인 채 땅에 떨어져있었다. 나는 초록색 감을 보고 울었다.
0 감이 나무를 놓친거냐 나무가 감을 놓친거냐 하면서.. 큰 슬픔.. 큐
그러다가
1 감이 땅으로 자리를 옮긴 건가. 아니면 감을 땅으로 옮겨준 건가?
하면 이제 울음을 그치고 헷갈리면서
2 아, 그냥 감이 땅에 있는 것인가.
그리고 나서는
3 감은 감이 아니고, 감나무도 감나무가 아니고 땅도 땅이 아니라서 덜 익었다는 말은 엄밀하게는 생명의 차원에서는 잠시 현신한 존재외에는 아무 것도 의미하지 않는 것이 아닌가.
이딴 식이 되고 그러면 이제 나는 왜때메 운거지?하고 거지가 된다.

덜익음을 0적인 상태^^에서 말해 쓸모없는 상태라고 해보자. 맛이 있길 하냐, 씨라고 여물었길 하냐. 완전 딴딴해서 감나무 아래 있다가 정통으로 맞고 골로 가는 거지. 사인 땡감..
자기의식을 가진 한 인생이 생명 대순환의 틀로 자기를 보면서. 자신의 쓸모와 쓸모없음에 대한 괴로움을 1-2자기가 지금만 존재한다는 것으로 받아들여 3무갈등의 상태로 접어든다면
그것은 건강하다고 말할 수 있는 상태인가, 자기 만족으로 족해서 외부의 어떤 판단도 필요치 않은 상태인가, 그 상태 자체는 아무것도 아니며 그의 자기 만족도 자기 만족 외의 어떤 가치를 갖지 못하나?

그가 그렇게 족했다면 외부가 그를 강제할 것은 뭐냐 싶지만. 그렇지만 '혼자서는 생존할 수 없는 인간'인 채로 '혼자 온전해버린 개인'이 도대체 뭐냔 말야. 그러한 사람은 다른 사람의 관계들에 기생해서 살게 되는 삶을 살게 되는 게 아닌가. 그 사람이 사회, 사람들의 곁을 떠나지 않는 한 말이다. '나는 한시적으로만 나다. 오 우주적 생명 졸쩔'이라는 결론을 얻은 자로써 치여 사는 사람들의 어떤 '인정'을 받으며 그 인정으로 인해 자기의 비생산을 그들의 여분으로 채워가며 기생하듯 살게 될 수도 있다는 거다.
잉여의 존재에게 실제적인 후원을 하거나, 기부를 하거나 하는 식으로 그를 계속해서 존재하게 하는 것은 인간의 어떠함인가.
결국엔 이 소리다. 나는 아직 고급예술이라 칭해지는 것들이 잉여를 바라봄으로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사회에 잉여가 넘치는 반면에 결핍도 넘치지만, 수요와 공급의 일치는 환상에 불과할 뿐임을 알면서도 내 앞가림도 차발차발하고 있다. 심지어 결핍은 불행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일차원적인 것으로 타도의 대상. 모든 결핍이 충족되는 것이 가능치도 않지만 결핍이 충족된 상태가 계속 될 수 또한 없는데. 내가 뭐라고. ㅋㅋ
감나무가 땡감을 떨어트리면서도 감 내기를 멈추지 않는다. 모든 감이 잘 익고 소화되는 채로 감의 형상을 잃는 것이 아니더라도 감나무는 감 내기를 멈추지 않는다.

아아아아 내가 아무리 배고파도 감을 소화시키지 못한다. 
이쯤 쓰다보니까 내 문제는 그거 같다. 내가 감을 소화시키지 못하는 것.

스스로를 넓은 의미의 순교자로 여긴 채 살아남는 삶이 기생의 모습이지 않으려면 얼마나 많은 노력이,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자기의 노력으로 가능한가? 물론 작업하는 인간을 작품나무-예술나무로써 바라보는 건 너무 짧다. 심지어 예술가를 순교자로 칭하는 것은 낭만적이고.
게다가 순교자가 있다고 그 종교의 정당함이 증명되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종교가 정당하지 않다면 순교는 헛된가? 신이시여..

보상, 혹은 목적이라면 무엇인가. 감나무의 감인가, 감나무의 익은 감인가, 감나무의 익은 감을 누군가에게 먹임인가, 감나무의 감나무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