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좋아하는 독일남성의 얼굴, 2012

월간이리 뒷 표지 담당의 썰 (1)



(1)
소식이랄까.  월간이리 뒷 표지를 예술가 얼굴 드로잉으로 채우게 되었습니다. 월간이리는 상수동 이리카페에서 매달 발행하는 무가지인데요. 여차저차 연결되서 하게 되었어요. 2013년 1월부터 한 해간 마지막 두 면엔 제가 뽑은 예술가에 대한 글, 그리고 뒷표지엔 그의 얼굴 드로잉이 실립니다.  제 그림을 오프라인으론 처음 내보이는 것이라 좀 설레요. 글도 그렇고요.
예술가의 얼굴을 드로잉하는 것은'그리고 싶어요재밌을 것 같습니다.' 하고 쉽게 정한 것에 비해 아주 어려웠습니다드로잉이야 좋아하는 예술가를 그리면 된다 싶기도 한데, ‘자기가 좋아하는 예술가 그린거래.’에서 끝나는 그림이 아니라 이 예술가를 왜 그렸는지 그리고 앞으로 남은 사람들은 어떤 개연성으로 이어지는지의 것들을 적고자 하니 그거 어렵대요. 그리고 싶은 얼굴을 그릴 땐 동인이 저에게 있으니 그림도 술술 그려지고 논리를 세울 필요도 없는데 미션 [예술가를 그려라.]는 그에 비해 좀 복잡한 겁니다일단 외부에서 들어온 명령어라 저의 내부에는 그것이 나올 틀이 없기에 새로 짜지 않으면 글까지 한 세트인 결과물을 뽑아낼 수 없었습니다1년 예정이니 제가 생각하는 예술가를 12명이나 그릴 텐데 12명은 12사도열두 사도면 복음전파즉 이것은 제 예술관까지 전파 되버리는 무시무시한 작업인거 아닙니까? 그런데 예술관이 바로서지 않았다면 어쩌죠? ^^ 여태껏 살면서 본 것들접한 것들을 '좋다나쁘다느낌 없다.' 하며 항상 분류해왔으니 취향은 분명한데 관으로 세울만큼 그것들을 명확한 언어로 정리해본적은 없어요일단 시작이 절반으로 인도해주기를 기대하며 좋아했던 작가를 다 꼽아 놓고 글을 쓰기로 했습니다뭔가 주객이 전도된 것 같지만 사실 그게 그거에요. 닭과 알. 뭐가 먼저인지는 문제가 아니에요. 진리는 알이 있다면 닭은 분명히 있는 거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현현한 순서의 전후관계가 바뀔 때 서로가 부정된다면 그때만이 순서를 두고 진리를 논할 문제가 된다고 생각해요. 이 생각을 요번 경우에 적용하자면 예술가를 먼저 정해놓고 글을 쓰기 시작해도 사실 제 안에선 동시에 존재한 것이기에 자연스레 논리와 맥락이 설 것이라는 이야기인데 무에서 유를 내는 창조로 썰을 푸는 것도 가능한 경우가 있지만 적어도 제게는 아니라서 만약 그렇다면 글 자체가 진행이 되지 않을겁니다. 그래서. 제가 술술, 어떤땐 쥐어짜가며라도 글을 바르게 썼다면 그와 함께하는 그림도 결코 지지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완벽한 콘텐츠*가 된 셈일 테니까요. 

*콘텐츠-위키백과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콘텐츠(content)는 각종 매체가 제공하는 정보이다저작물창작물의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그리고 사실 쥐어짜네 어쩌네 해도 즐겁습니다. 위에도 적었다시피 글과 그림을 세트로 처음 내보이는 거에요. 그림은 뭐 그렇지만. 글도 읽어줄만 할지..?

(월간이리는 굉장하게도 인터넷을 통해서도 볼 수 있어요. 1월호가 나오면 (2)번 글을 올리면서 링크를 걸어두겠습니다.)

팬티를 입어야 할 것 같다_종이에 연필, 오일 파스텔_2012

종이에 연필, 46*66cm, 2012

20121219_스포츠에 열광하는 것에 대해





이전 사람들이 스포츠를 자신의 마을 내지 도시의 명예와 연관지어 열광했다면
오늘날 사람들이 스포츠에 열광하는 이유는
피와 땀이 정당하게 보상받는 드라마를 보고 싶기 때문아닐까.
언제부터 정당한 보상이 드라마가 되었는지 잘 생각해 볼 일이다.
그리고 나아가
승리의 지표가 객관적 지수인 것과, 노력의 보상은 승리라는 가시적 성과임을 새기며
객관적이고 가시적인 것엔 거짓이 없는지 잘 살펴야할 일이다.
사실이렇게까지 따지지 않아도.
언제나 승리는 너무 많은 것을 가져간다.
그래서 결국 사람들이 보고 싶은것은 정당한 보상이 아니라
한 번의 승리가 가져오는 계급상승의 드라마가 아닌가.
그런하에서 세상은 누구를 승리자로 맞더라도 바뀌지 않는다.
이전 사람들이라고 달랐을까.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
언제나 깊은 후회속에 아담과 하와는 선악과를 따먹고,
언제나 깊은 후회속에 가인은 아벨을 친다.
뱀은 승리에 있다. 세상은 변하지 않는다.

이것은 도시정착민에게 알맞은 사고방식이 아니다.
그래서 이 생각은 건강하지 않다.
모든 것이 병들었다고 빈정거리지 않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