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 도서관 폐관곡의 역사(수정2013.2.4)


모 도서관 폐관곡의 역사
 
내가 자주 가는 일산의 모(굳이 안 밝힘) 도서관에선 글을 쓰는 현재(20127*), 폐관시간이 되면 영화 인셉션의 인상 깊은 삽입곡 'Non, Je Ne Regrette Rien' 틀어둔다.
*이 글을 마무리 짓는 지금이 20132월이라니 뜨악하다.
그 전 폐관곡은 사운드 오브 뮤직의 'So long, Farewell'이라는 곡이었다. 그리고 그 전 곡이자 내가 기억하는 최초의 폐관곡은 '또 만나요'. 우리나라 그룹 딕훼밀리의 곡이다.
그러니까, 모 도서관 폐관곡은.
또 만나요So long, FarewellNon Je Ne Regrette Rien 로 바뀌어왔다. 도서관 이용을 시작한 2008년엔 폐관곡을 들을 정도로 늦게까지 머물지 않았으며, 학교 도서관을 이용했기에 몇 개월간 가지 않았던 동안 다른 곡이 있었을 수도 있지만 그 가능성을 차치하고서. 이 세 곡의 순서를 일산 모처 도서관 폐관곡의 역사이다! 라고 말해버리자.
 
도서관 폐관곡의 역사
폐관곡이라하면 -이제 문을 닫을 시간이므로 주변정리를 하고 잘 가시기 바랍니다. 라는 코멘트를 대신 전달하는 목적이 있다. 파블로프가 개에게 종소리를 들려줘서 밥시간을 알림과 마찬가지로, 때를 신호하는 음악인 것.
곡 순서대로 가사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또만나요-딕훼밀리
빠빠빠 빠빠빠 빠빠빠빠 빠빠빠 빠빠빠 빠 빠빠빠
빠빠빠 빠빠빠 빠빠빠빠 빠빠빠 빠빠빠 빠 빠빠빠
지금은 우리가 헤어져야 할 시간 다음에 또 만나요
지금은 우리가 헤어져야 할 시간 다음에 다시 만나요
헤어지는 마음이야 아쉬웁지만 웃으면서 헤어져요
------------------------------------------------------------
So long, Farewell-사운드 오브 뮤직ost
원래는 영어 가사이다.
(중략) 안녕, 안녕, 안녕, 또 봐요.
나는 남아서 나의 첫 샴페인을 맛보고 싶어요.
안녕, 안녕, 또 봐요, 안녕.
나는 떠나며 한숨을 쉬고 작별을 고해요.
안녕.
(중략) 햇님은 자러 가고 나도 자러 가야 해요.
안녕, 안녕, 또 봐요, 안녕,
------------------------------------------------------------
Je Ne Regrette Rien-인셉션ost
(불어해석)
...아니, 전혀, 내게 후회라곤 없어
왜냐면 바로 오늘부터, 내 인생, 내 행복, 모든 것이
당신과 함께 시작되니까
------------------------------------------------------------
이렇다. 폐관곡으로 납득이 가기도 애매하기도 하지 않는가?
-지금은 헤어져야 할 시간이기 때문에 다음에 다시 만나자-는 내용에서 -나는 자고 싶지 않지만, 여러분 이만 안녕,- 이라는 내용이 갑자기 -지난 것들에 대해 후회하지 않는다, 당신과 함께이기 때문에 다시 시작이다.-라는 내용으로 건너뛴다.
이 건너뛰는 변화가 내가 즐거움을 느끼고 글을 쓰게 된 이유인데
'또 만나요'는 곡의 제목이 인사이며, 그 가사에서 도서관의 폐관시간이 되었음을 직설적으로 전달한다. 두 번째 곡은 일단 영어원곡이므로 가사를 해석해야 하는 것 외엔 첫 곡과 비슷하다. 가사에 등장하는 Good Bye가 워낙 친숙한 인사말이기에, '잘 가'라는 의미 전달로 폐관시간이 다 되었음을 전달하는데 무리가 없다. 그런데 세 번째 곡에 이르면 일단 가사가 불어이며, 그래서 상대적으로 친숙하지 않다.(네이버 지식인:http://bit.ly/P8P89V) 심지어 가사를 이해하더라도 내용이 폐관과 연관이 없다. 영화 인셉션을 보지 않았다면 절대로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사운드 오브 뮤직을 보지 않았더라도 'So long, Farewall'이 폐관곡임을 이해할 수 있는 것과는 다르다.
인셉션이 워낙 흥행하긴 했지만 보지 않은 사람이 더 많다. 세 번째 폐관곡이자 인셉션의 OSTJe Ne Regrette Rien은 타인의 꿈에 들어가 무의식을 조작함으로써 사업상 결정을 하는데 영향을 미치거나 기밀을 빼내는 일을 하는 주인공이 꿈에서 깨어나기 위한 신호로 삼은 음악이다. 이렇게 폐관곡으로 쓰인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 인셉션을 보았거나 들어야하는 -정보 내지는 경험이 필요하게 되었다. 단순 신호로 기능한 음악에서 지식이나 정보의  경험을 가지고 있어야 이해가능한 음악으로 심화된 것. 그래 이게 뭐가 재밌다는 것인가? 그 곡이 어떤 곡인지는 아는 사람만 알면 되는 것 아닌가? 폐관을 알림이라는 신호의 기능만 수행한다면 뭐, 생일축하노래가 나와도 상관없지 않나?
내가 재미를 느낀 점은 폐관곡이 차근히 단계를 밟아 변한 것에 있다. 만약, 최초에 그러니까 2007년 일산의 모 도서관이 개관한 622일엔 폐관 음악이 없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도서관 사서는 시민들에게 일일이 도서관 폐관시간이 되었으니 나가달라고 말해야 했을 것이다. 그러다가 누군가 음악을 틀어두자고 아이디어를 냈겠지*.
*애초부터 있었을 가능성이 짙지만.
음악은 도서관의 고요함을 권위를 가지고 깸으로써 훌륭한 폐관 신호가 되었을 것이다. 당시엔 단순히 알림으로써만 기능하기위해 단음의 멜로디가 신호로 쓰였다면, 더욱 더 재미있겠다.
도서관측에서 음악을 튼다. 음악은 신호다. 방문객은 도서관 폐관시간이 되었다는 의미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그러한 전달체계가 도서관측과 방문객에게 익숙해진 상황에서, 도서관측은 또 만나요로 곡을 정한다. 가사와 일맥상통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폐관곡은 단순 신호에서 의미를 담게 된다. 음악 신호로 폐관임을 알린다.’라는 체계가 생겼기에, 폐관을 알리기 위해 다른 멜로디의 가사 없는 곡을 써도 되는데, 가사로 의미를 전하는 쪽을 선택한 것이다. (신호의미)그리고 ‘So Long Farewell’로 의미전달에 스토리를 담아 심화시킴을 통해 현재의 Non, Je Ne Regrette Rien이 폐관곡으로 정해질 수 있었던 거다.
그러니까 단순 신호 전달 의미를 담은 신호 전달/의미와 상통하는 스토리를 담은 신호 전달 상징을 담은 신호 전달
폐관시간이 되면 음악으로 알려준다는 사실이 친숙하게 받아들여지기에 그 곡이 왜 선택되었는지 모름에도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메시지, '폐관시간이 되었다.'를 신호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것이 도서관측과 방문객에게 기본적으로 깔려있는 상태이므로
이 곡은 영화 인셉션에서 꿈에서 현실로 되돌아가야함을 알리는 음악으로 사용되었으니 폐관시간에 틀어두면 괜찮겠군.’ 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 이다.
 
세상은 더욱 풍부해진다지만 의미차원에서 전 의미를 다 이해하는 것, 그 상징을 모두 알아차리는 것, 숨은 것을 발견하는 사람은 점점 적어진다. 그러면 과연 풍부해진 것인가.
정말 즐겁지 않은가내가 느낀 이런 즐거움은 꼬아둔 것을 이해하는 것에서숨은 의미를 발견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사실은. 의미가 없던 무엇에 무언가를 빗댈 수 있는 것만으로도 즐겁다. 정수는 무엇인가나는 알 수 없고 그것을 찾으려 애쓰는 일은 즐겁다그래서 ‘예술이 그렇다더라.’가 신호처럼 모두에게 익숙해져 예술이라는 신호는 점점 숨겨진 의미를 갖게 되는 쪽으로 넘어간다고 해버리고 말이다. 어쨌든 노래가 나오면 사람들은 갈 준비를 한다. 인셉션을 생각하며 더 감흥을 느낄 사람들도 가야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 일하다가 문득 Non, Je Ne Regrette Rien을 들으면 왠지 퇴근해야할 것 같단 생각이 든다. (하지만 난 일하는 것이 좋아서 깨기 싫다)